로스탕의 희곡 <시라노>의 인기에 힘입어 ‘시라노’라는 이름은 낭만의 대명사로 각인되어 왔습니다. 못생긴 외모 때문에 사랑하는 여인에게 마음을 전하지 못한 한 남자의 이야기. 그런 그에게 더욱 안타까운 사연이 있으니, 비범하고 흥미진진한 삶이 로맨티스트라는 그림자에 가려져 있다는 사실입니다.
지동설의 과학적 증명으로 천문학에 혁명적을 가져온 갈릴레오 갈릴레이. 하지만 그는 권력 앞에서 자신의 학설을 스스로 부인하는 수치스러운 선택을 한 바 있습니다. 독일의 극작가 베르톨트 브레히트는 희곡 <갈릴레이의 생애>를 통해 경계에 놓인 지식인의 선택과 책임에 대한 자전적 성찰을 담았습니다.
1825년 12월, 러시아 수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광장. 일군의 정예 장교들이 ‘전제정치 철폐’와 ‘근대화’를 요구하며 무장봉기를 시도하지만, 반란은 실패로 끝나고 황실은 공포정치를 시작합니다. 작가 니콜라이 고골은 희곡 <검찰관>을 통해 이 시대의 풍경을 들여다볼까요?